SQL #21 함수 21. 함수 -함수 *함수 란? (참조)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객체 * 함수 실행1(현재 시간 조회) * 함수 생성 * STUDENT1 테이블 조회 SQL 2021.10.14
SQL #20 프로시저 20. 프로시저 -프로시저 * 프로시저 란? (참조) 자주 실행해야하는 특정 작업을 필요할 때 호출하기 위해 절차적인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한 이름이 있는 프로그램 모듈(Block).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이름이 있는 PL/SQL BLOCK이다. 루틴이나 서브루틴 및 함수와 같은 뜻이다. 하나의 프로시저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부이다. 일반적인 의미로 어떤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 순서를 말한다. -프로시저 문법 CREATE OR REPLACE PROCEDURE 프로시저 이름 ( 매개변수명1 [ IN || OUT || INOUT ] 데이터타입, 매개변수명2 [ IN || OUT || INOUT ] 데이터타입 ... ) IS||AS 변수, 상수 등 선언 ( 선언부 ) BEGIN 실.. SQL 2021.10.14
SQL #19 인덱스 19. 인덱스 -인덱스 *인덱스 란?(참조) 인덱스(index) -> 추가적인 쓰기 작업과 저장 공간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검색 속도를 향상 시키기 위한 자료구조. ex) 책에서 원하는 내용을 찾을 때 모든 페이지를 찾는 것은 많은 시간을 소모한다. 그래서 책들의 맨 앞 또는 맨 뒤에 색인을 추가하는 데 데이터베이스의 index가 책의 색인과 같다고 볼 수 있다. -인덱스의 장점과 단점 더보기 장점 더보기 * 테이블을 조회하는 속도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. * 전반적인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. 단점 * 인덱스의 관리를 위해 db의 10%에 해당하는 저장공간이 필요하다. * 인덱스를 관리하기 위해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. * 인덱스를 잘못 사용할 경우 성능이 저하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.. SQL 2021.10.14
SQL #18 뷰 생성, 조회, 수정, 삭제 18. 뷰 생성, 조회, 수정, 삭제 -뷰 생성, 조회 * #17 에서 만든 강의실1 테이블과 STUDENT 테이블을 조인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뷰 생성 * 뷰 조회 * 일반 테이블을 조회할 때 처럼 사용 가능하다. -뷰 수정, 삭제 * 뷰 수정 * 원본 데이터를 수정하면 뷰에도 반영이 된다. * 기존 데이터 수정(1003 학생 ENG 점수 90 ->100 수정) *뷰 삭제 SQL 2021.10.14
SQL #17 조인 17. 조인 -조인 * 영어 점수가 50 점 이상인 반의 과목 총합 그룹 * 영어 점수가 50 점 이상인 반의 과목 총합 그룹과 강의실1테이블 조인 * 영어 점수가 50 점 이상인 반의 과목 총합 그룹과 강의실1테이블 조인한 결과를 code, room, teacher 항목만 표기 SQL 2021.10.14
SQL #16 그룹 16. 그룹 -그룹 * STUDENT1 테이블 조회 *STUDENT1 테이블 그룹 * 국어 점수가 70 이상인 반의 국어 합산 점수 * 국어 점수 합산한 반의 그룹 중 총 합이 100 이상인 반과 합산 점수 * 영어 점수가 50이상인 학생의 총점을 그룹 * 국어 점수가 50 이상인 학생 년도별 그룹 SQL 2021.10.14
SQL #15 조인 실습 15. 조인 실습 - DEPT02, EMP03 조인 * DEPT02, EMP03 테이블 조회 * INNER JOIN * RIGHT OUTER JOIN * LEFT OUTER JOIN * FULL OUTER JOIN1 * DEPTNO 10002 가 EMP03 테이블의 항목과 연결되어 있지 않아(외래키 제약 조건) 오류가 나타난다. * FULL OUTER JOIN2 SQL 2021.10.14
SQL #14 조인 4가지 14. 조인 4가지 -강의실 등록 *강의실 등록, COMMIT *등록 확인 -SQL JOIN -조인 1번째(INNER JOIN) * INNER JOIN * 외래키를 조건으로 두 개의 테이블을 합친다. * 추가한 강의실 'D'는 나타나지 않는다. -> 외래키로 두 테이블이 묶이지 않았기 때문. -조인 2번째(RIGHT OUTER JOIN) * RIGHT OUTER JOIN * 강의실 'D'는 나타나지만 STUDENT1 과 묶이지 않아 STUDENT1 테이블 부분은 NULL 로 나타난다. -조인 3번째(LEFT OUTER JOIN) * LEFT OUTER JOIN * 외래키 제약 조건으로 INNER JOIN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. (강의실 'D' 와 연결된 학생 항목이 없음.) -조인 4번째(FULLOUT.. SQL 2021.10.14
SQL #13 테이블 조인, 그룹 13. 테이블 조인, 그룹 - 테이블 조인 * STUDENT1, CLASSROOM1 조인1 * 두 테이블을 외래키를 기준으로 조인했다. * STUDENT1, CLASSROOM1 조인2 * 항목에 NO, NAME, ROOM 만 나오게 한다. -그룹 * CLASSROOM1 과 STUDENT2(생성) 합치기 * EMP04(생성) 과 DEPT02 합치기 SQL 2021.10.13
SQL #12 실습(시퀀스, 테이블, 항목 생성) 12. 실습(시퀀스, 테이블, 항목 생성) - 시퀀스 생성 -학생 테이블 생성 * 조건 *학생 테이블 생성 -강의실 테이블 생성 * 조건 * 강의실 테이블 생성 -외래키 설정 *외래키 설정 *외래키 설정 확인 -강의실, 학생 추가 *강의실 추가 * COMMIT * 추가 확인 * 학생 추가 *COMMIT *추가 확인 SQL 2021.10.13